본문 바로가기
건축/건축학

[건축학] 백화점 건축계획

by 수수소소 2022. 5. 18.

백화점의 개요

백화점의 법적 건축물 용도는 판매시설입니다. 백화점은 의식주에 관련된 여러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근대적 대규모 판매시설로서 최근에는 위락시설을 포함하여 쇼핑뿐 아니라 문화공간의 기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역사를 살펴본다면 산업사회의 발달 속에서 대량 생산체제의 발달 등은 대량 판매 공간으로서의 백화점 발달을 촉진 시켰습니다. 백화점은 상품 판매의 효율성 증가를 위한 기능의 파악에 중점을 두고 고객, 차량, 종업원, 물품 등의 동선에 대한 분리와 합리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하 주차장, 진열 공간의 수직 동선이 고려되어야 하며 다른 건축물 용도와는 다르게 에스컬레이터 조닝 및 위치 결정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근래의 백화점에서는 문화공간 및 방문객이 즐기고 체험하는 공간 역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백화점의 배치계획

백화점의 성격을 정하여 타깃 고객을 정하고 이에 맞는 위치에 지어져야 합니다. 백화점의 성격을 정하는 과정에서는 주변 상권 분석도 중요한 요소이고 상권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넓은 도로의 폭에 면하는 것이 주차에 유리하며 대지의 크기와 주변 도로의 교통량과 도로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차량 및 보행자의 동선 분석도 실행해야 합니다. 백화점은 접근성이 뛰어나야 하고 전면성을 부여하여 인지도를 높여야 합니다. 외부의 채광으로부터의 영향이 적은 관계로 일조권 확보를 위한 계획보다는 접근성과 전면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접근성과 전면성을 위해 광장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광장은 시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다양한 야외 활동이 가능합니다. 

백화점의 건축계획

백화점의 공간 구성은 고객, 상품, 업무, 판매 4가지로 크게 분류가 됩니다. 고객 부분은 출입구, 통로, 코어, 식당 등의 백화점 이용에 필요한 공간이고 상품 부분은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검수, 보관시설, 운반시설 등 각종 관리를 위한 공간으로 구성됩니다. 업무 부분에서는 직원의 전용 출입구, 코어, 사무실과 회의실 등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판매 부분의 경우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고객이 쇼핑하는 백화점의 영역입니다. 평면적으로 매장 전체의 시야가 확보되어 고객이 동선과 공간 구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합니다. 공간의 연결이 유연하고 레벨 차가 없도록 계획되어야 합니다. 백화점은 불특정 다수가 모이게 되는 집객 시설이기 때문에 구조, 피난, 방재 계획이 중요합니다. 수직 동선인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의 배치는 기능적으로 고객의 움직임이 매장 전체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에스컬레이터는 백화점에서 가장 편리한 수직 동선이지만 방재계획에 불리하여 비상계단의 역할은 하지 못합니다. 수송력은 가장 큰 데에 비해 좁은 면적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유연한 수직 동선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화장실은 주 계단, 엘리베이터 혹은 로비 부근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매장을 둘러볼 수 있도록 1층에 배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백화점에서의 옥외조명은 파사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백화점의 벽면에는 창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외벽의 단조로움을 개선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하고 건물 인지도를 높이는 디자인해야 합니다. 판매시설 내에 종업원을 위한 사무공간도 필요합니다. 사무공간은 판매를 위한 업무 파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고객 동선 이외의 별도의 직원 동선이 필요로 합니다. 백화점은 문화에 관심 있는 불특정 다수가 오는 건축물이라 항상 새로움과 화려함이 존재하여 소비 욕구를 불러일으켜야 합니다. 또한 항상 새로운 상품을 암시하는 참신한 디자인이 요구되므로 실내외 디자인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계획이 요구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