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을 설계할 때 필요한 설비 시스템에는 난방 설비가 있습니다. 난방 설비의 목적은 실의 사용 목적에 알맞게 온도를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난방설비에는 3가지가 있는데 직접난방, 간접난방, 복사난방이 있습니다. 직접난방에는 대류난방, 복사난방, 강제 통풍난방 등이 있고 간접난방은 덕트 등을 통해 실내에 온풍을 보내어 난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난방설비 시공 시 주의사항에는 온수 순환 시 소음이나 진동의 장애가 일어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합니다. 또한 배관의 신축에 의한 각종 장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공기의 침입으로 온수 순환이 저해되거나 관내 부식이 진행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하며 공기가 정체하는 개소에는 자동 또는 수동 공기 빼기용 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팽창탱크에 접속하는 도피 간에는 밸브를 설치해서는 안 되며 온수 배관은 공급 관이나 환수 관을 모두 보온해야 합니다. 배관에는 자체 중량이나 흔들림 방지를 고려하여 배관을 지지하고, 고난의 신축에 대하여 이것을 자유롭게 하는 개소와 고정하는 개소를 구별하여 후자는 구조체에 견고하게 전자는 롤러 지지 또는 슬라이드 지지 등으로 신축 방향에 대하여 자유롭게 합니다. 두 번째로 공기 조화 설비가 있습니다. 공기조화 설비의 목적은 실의 사용 목적에 알맞은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공기조화란 주어진 실내의 온도, 난방, 냉방, 습도, 환기, 청정, 기류 등을 함께 조절, 실의 사용 목적(사람, 물질 등)에 알맞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공기조화기는 보건용, 산업용, 산업용 클린룸, 의학으로 구분된다. 보건용에는 인간(난방, 냉방, 습도, 기류, 공기 청정, 소음, 진동 방향 등)이 있습니다. 산업용에는 물질 (온도, 습도, 청정, 생산성 향상 반도체 산업, 제약, 전산실, 정밀기계, 농작물 성장 촉진 및 억제, 제품 장고 등)이 있습니다. 공조설비 계획 수립 시에는 시스템 공급의 안정성, 신뢰성, 경제성, 부하 대응에 대한 융통성, 에너지 절약형, 안정성, 유지 관리의 간편성 등에 대하여 고려되어야 합니다. 공기조화 설비의 시공에는 기계설비용 표시 등을 부착하는 것이 있고 공동구 및 기계실의 인서트 플레이는 설치 위치를 사전에 검토 추후 배관 시공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유류 주입구 위치는 유조차 진입 등 주유에 지장이 없는 위치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유류 저장 탱크와 구조물 사이에 채우는 모래는 건사 사용, 해사 사용을 금지해야 하며 지하층에서의 작업환경 조성이 중요합니다. 철골조 내화피복(앞이면 스프레이이신)의 일부가 되받아치기 덕트로 실내로 이동 사례 많으며 증기난방 시 기계실에서 응축수 탱크 위치는 미리 고려 되어야 하고 전등 부착 시 덕트 손상 많으며 인테리어 공사 시기 시공된 설비 부문 손상 많이 입히고 있습니다. 설계 변경 다발로 인한 어려움이 많고 설계사무소에서 건축 기본설계를 위한 시간 투자가 상대적으로 깁니다. 환기 방식에는 자연환기와 강제환기 방식이 있습니다. 기계환기에는 1종 환기, 2종 환기, 3종 환기 방식이 있습니다. 각각의 방식을 정의하자면 1종 환기 급거 및 배기 모두 강제 배기이고 2종 환기 습기는 강제 배기는 자연환기, 그리고 3종 환기 배기는 강제 습기는 자연환기입니다. 온도계는 관의 중앙부에 설치해야 하며 냉각탑 주위에 장애물을 두면 안 됩니다. 방음 설비에 중요한 것은 음원 차체를 저음 형으로 선정해야 하고 발생한 소음은 차음과 흡음재를 적절히 사용 줄여야 하므로 소음기 설치도 검토해야 합니다. 덕트가 바닥이나 벽체를 관통하는 부위는 암이면 등으로 완전히 절연시켜야 합니다. 방진 설비에는 펌프의 기초 방진고무 사용, 배관의 고정대에도 방진고무 사용, 수직과 흔들림 방지 시 U 밴드 사이에 방진재 사용, 송풍기 방진에도 방진고무 사용이 있습니다. 내진 설비에 대해 살펴보면 대지진 시에 건축설비에 의한 2차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기기의 방진 조치는 함부로 시설하지 말고 방진의 필요성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시행합니다. 특히 비상시에만 작동하는 방재기 등은 필요 최소한 방진 조치하고 부득이 방진을 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내진 스토퍼를 설치해야 합니다. 자동 제어 설비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각종 센서의 시공 시에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해야 합니다.
'건축 > 건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학] 업무시설의 개념과 역사 (0) | 2022.05.16 |
---|---|
[건축학] 고딕건축이란 (0) | 2022.05.15 |
[건축학] 현대건축에 적용할 수 있는 한국전통건축의 공간 요소 (0) | 2022.05.11 |
[건축학] 모더니즘 건축이란 (0) | 2022.05.11 |
[건축학] 공동주택의 건축계획 (0) | 202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