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주거 면적은 총면적에서 부엌, 욕실, 화장실, 복도 등 생활을 지원하는 부분을 뺀 면적을 말합니다.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면적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건축학적인 면에서 본 표준을 고려할 때 1인당 16.5 제곱미터의 공간이 필요하지만, 어린이들의 체위가 향상되고 사용하는 가구의 대형화 및 수량의 증가 양상에 따라 표준 치는 적어도 1인당 19제곱미터는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현대 주택은 가족 수와 관계없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주택 면적이 결정되기 때문에, 한정된 면적에 각 실을 배치하면서 면적을 어떻게 분배하는가 하는 것은 실제적인 문제입니다. 주택의 평면계획은 어느 실을 어디에 배치하는가 하는 각 실의 배치 문제만으로 한정되지는 않습니다. 가족이 주택에서 매일 반복하는 다양한 생활 활동을 정리하고, 조직화하여 각각의 생활기능에 따라 적합한 생활공간을 계획하여야 합니다. 이와 같은 계획에 앞서 논의된 배치계획과 함께 종합적으로 정리해 가는 것을 평면계획이라고 합니다. 주택의 평면계획은 주거의 기본이 되는 계획으로 주거인의 생활상태를 기초로 하여 건축물의 정도를 파악하고, 충당할 수 있는 경제적 예산으로 건축할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하여 거주인의 직업, 취미, 가족인 수, 연령 등에 따라 실의 구성을 정합니다. 주택을 설계할 경우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지의 방위, 인접 대지의 상태, 도로와의 관계 등을 조사하여 정확히 실측하고 실제 대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주 출입구와 부출입구의 위치를 결정하고 주택을 대지 전체의 어느 변에 배치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대문에서 현관까지의 통로와 앞마당은 주택의 품위를 나타내는 정원 등을 계획하고, 부출입구 또는 부엌 부근에는 화물의 출입이나 기타 작업을 위한 여유 있는 공지가 필요합니다. 특히 앞마당은 거실, 방, 식사 공간 등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전면에 계획하고, 어린이실 전면에는 뛰어놀 수 있는 공지를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각 실의 연결 방법으로 홀을 이용합니다. 즉 현관에서 홀로 들어오고 홀에서 2층이나 화장실 등 각 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며 불가피한 경우에는 복도를 이용하여 다른 실과의 연결을 도모합니다. 이때 복도를 필요 이상으로 늘리지 않고 각 실 상호 간의 관계를 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실은 사용상 특징에 따라 유사한 기능의 실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배치하거나 분배하여 배치해야 합니다. 거실은 주거의 중심에 두고 응접실과 객실은 현관 가까이에 둡니다. 침실, 서재, 어른을 위한 공간은 조용한 곳에 배치하며 작업실은 부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집중시킵니다. 부엌, 욕실, 화장실, 세탁실 등의 같은 그룹의 공간들은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배치할 뿐만 아니라 급 배수 및 전기 등의 설치가 편리하고 경제적이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주택의 규모에 맞도록 거실, 식당, 부엌의 연결과 크기를 고려하여 공용공간을 배치하여야 합니다. 거실, 식당, 부엌의 공간 구성은 생활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거실, 식당, 마루 등의 가족실은 쾌적한 위생환경 관리와 따뜻한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일광을 투입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충분한 통풍은 습기가 많은 무더운 여름에 매우 중요합니다. 동쪽과 남쪽의 일조 및 채광을 충분히 이용해야 하고 북측은 통풍에 필요한 정도만 개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쪽은 통풍과 채광이 필요할 때는 창문 전면에 강한 햇빛을 차단하도록 나무를 심거나 차폐물을 설치하여 막으면 좋습니다. 2층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계단의 단수와 너비가 적당하고 2층에 욕실, 화장실 등의 설비가 갖춰지면 2층에 침실, 서재뿐 아니라 어르신들을 위한 독립적인 공간을 계획할 수도 있습니다. 대지가 좁은 주택은 설비를 좋게 하여 2층을 이용하면 충분한 일조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은 대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평면을 구성할 수 있지만 가능한 주택의 평면은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나 직사각형의 형태가 일반적으로 무난하고 건축비도 절약되게 합니다. 이형 평면인 경우에는 채광이나 통풍에 불리한 실이 발생하고 위생상 적합하지 못한 경우도 발생하므로 평면 형태를 크게 하여 이형 공간이 적도록 구성을 하는 게 좋습니다.
'건축 > 건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학] 모더니즘 건축이란 (0) | 2022.05.11 |
---|---|
[건축학] 공동주택의 건축계획 (0) | 2022.05.10 |
[건축학] 주택의 각 실 별 세부계획 (0) | 2022.05.09 |
[건축학] 단독주택의 공간구성 (0) | 2022.05.08 |
[건축학] 포스트 모던 건축이란 (0) | 2022.05.07 |
댓글